BOOK · 리뷰
모두에게 필요한 자기만의 19호실
2018-10-10
저자
출판사
리뷰자 이해선(이해선 (독서교육, 독서심리상담가)

 

도리스 레싱은 불완전한 여성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과 고통을 여러 작품을 통해서 이야기해 왔다.

[19호실로 가다]에 등장하는 여성들의 이야기는 도리스 레싱의 시대,

1960년대만의 이야기가 아니기에 수준 높은 작품이라고 하고 싶다.

그리고 한편으로 씁쓸하다.

여전히 대부분의 남성은 가정을 부양하고, 여전히 대부분의 여성은 육아와 가사를 맡는다.

그렇기에 가부장제는 여전히 공고하며, 육아와 가사로 일을 그만 둘 수밖에 없었던 여성은

가부장제 안에서 위대한 모성애를 가치삼아 살아간다.

 

도리스 레싱의 단편집 [19호실로 가다]의 여러 단편 중 단연 으뜸은 ‘19호실로 가다이다.

온새미로는 여기서 떠오른 작품이 둘 있다.

버지니아 울프의 [자기만의 방] 과 김수현 작가의 드라마 [엄마는 뿔났다] 이다.

숙모가 그녀(울프)에게 남겨준 유산이 없었다면 우리는 울프의 작품을 만날 수 없었을 것이다.

남편 혹은 애인이 벌어다주는 돈이 아닌 오롯이 자기 소유의 돈으로

오롯이 자신만을 위한 방에서 문학을 할 수 있었기에...

특히 오롯이 자기 소유의 돈이 여자의 몸과 마음, 심지어 생각까지 자유롭게 한다는 것을 울프의 문학적인 삶에서 느낄 수 있다.

 

한자(김혜자 역)의 휴가는 단순히 여자, 엄마라는 존재의 휴가가 아닌 자신의 정체성,

자신의 삶을 찾지 못했던 한 사람의 휴가였음을...

단순히 가부장제 틀 안의 가족과 가사 노동의 어려움으로 단순화하는 것이 아닌

더 너른 여성의 사유(思惟)를 생각할 수 있었다.

 

*19호실로 가다

사랑하는 남자를 만나 자신의 의지로 선택한 결혼을 했으며, 나름 완벽한 가정을 이루며 살고 있는 수전이지만 그녀는 자신의 삶에서 피로감을 느낀다.

수전은 아이들이 자신의 도움이 필요 없는 나이가 되면 다시 자기만의 삶을 살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 그러나 정작 그런 시간이 다가왔음에도 그녀는 오히려 무기력함에 빠진다. 오히려 온통 집, 가족으로 대변되는 그녀의 삶이 다시 그리울 정도이다. 여기에 남편, 매슈의 외도까지 겹치면서 수전의 삶은 피폐해진다.

이제 수전은 남편에게 매주 돈을 받아 집에서 멀리 떨어진 초라한 호텔, 19호실에 자신만의 공간을 만든다. 비록 남편에게 돈을 받아서 그곳을 만들어 내는 것에 대한 굴욕감이 있을 수도 있었으나, 철저히 혼자가 되어 온전히 수전 자신만의 사유(思惟)로 돌아가 일상을 버텨내는 충전의 시간을 갖는다. 그러나 그 유일한 기쁨은 남편의 의심으로 인해 그녀만의 독립된 공간을 빼앗기게 된다. 그녀는 극단적으로 자신을 내던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