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드리히 니체, <도덕의 계보> 읽기
시간
25년10월30일(목)오전10시
장소
한양문고주엽점 여우나무
회비
10만원(20회)
수량
    총 상품금액
    200,000

     

    프리드리히 니체, <도덕의 계보> 읽기

     

    니체의 도덕의 계보(1887)를 강독하면서, 기독교적 윤리의식의 형성에 대한 니체의 계보학적 탐구를 살펴봅니다.

     

    도덕의 계보는 세 편의 논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각은 선악의 기원’, ‘죄와 양심의 가책’, ‘금욕주의적 이상이라는 주제를 통해 기독교 도덕이 인간의 생동하는 힘을 어떻게 억압과 죄의식으로 조직했는가를 추적합니다. 니체는 이 책에서 선과 악이라는 도덕 구분이 결코 초월적이고 절대적인 진리가 아니라, 힘의 관계 속에서 발생한 해석적 산물임을 폭로합니다.

    니체의 계보학은 단순한 도덕 비판이 아니라, 도덕적 가치가 생명력과 의지를 전도시키는 권력의 역사에 대한 해명입니다. 그는 원한양심의 가책의 개념 등을 통해 약자의 복수심이 어떻게 죄의식과 속죄의 논리를 낳았는지를 보여줍니다. 도덕을 심리적·신학적 구조가 아닌 정치적·해석적 장치로 분석하면서, 니체는 기존의 도덕의 이상을 해체하고, 기독교적 금욕주의를 넘어 삶을 긍정하는 새로운 가치 체계, 힘에의 의지의 윤리를 모색하고자 합니다.

    세미나는 각 논문들을 천천히 강독하고, 현대 철학·정치·예술의 관점에서 그 사유의 여파를 토론하면서 진행하고자 합니다.

     

     

    강의 진행

     

    1주차(10/30) 서문 + 1논문 §1§3

    계보학적 방법의 의미, “가치의 가치에 대한 물음

     

    2주차(11/6) 1논문 §4§10

    귀족적 가치와 노예적 가치의 대립, 원한의 심리

     

    3주차(11/13) 1논문

    §11§17 기독교 도덕의 형성, 약자의 복수로서의 도덕

     

    4주차(11/27) 2논문 §1§6

    채무와 죄의 관계, 약속 능력의 탄생

     

    5주차(12/4) 2논문 §7§13

    본능의 내면화, 자기 폭력으로서의 양심

     

    6주차(12/11) 2논문 §14§25

    처벌, 기억, 권력의 내면화 메커니즘

     

    7주차(12/18) 3논문 §1§8

    금욕주의의 역할, 철학자·성직자·예술가의 자기부정

     

    8주차(1/8) 3논문 §9§16

    진리에 대한 의지의 역설, 철학적 금욕의 기원

     

    9주차(1/15) 3논문 §17§23

    삶의 긍정, 디오니소스적 가치전환, 계보학의 실천적 함의

     

    10주차(1/22) 3논문 §24§28

    철학의 자기비판, 새로운 긍정의 가능성

     

     

    강의 시간: 1030일 목요일부터 매주 아침 10시에 진행됩니다.

     

    강의교재

    프리드리히 니체,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김정현 옮김, 2002 (책세상 니체전집 14)

     

    수강료: 20만원(10회)

     

    강사 김동국

    서울대학교 미학과에서 학부와 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철학과 미학에 대한 강의와 글쓰기를 하고 있다. 아무도 위하지 않는, 그러나 모두를 위한 니체(삼인), 예술, 진리를 훔치다(파라북스)등의 책을 썼다

     

     

    프리드리히 니체, <도덕의 계보> 읽기

     

    니체의 도덕의 계보(1887)를 강독하면서, 기독교적 윤리의식의 형성에 대한 니체의 계보학적 탐구를 살펴봅니다.

     

    도덕의 계보는 세 편의 논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각은 선악의 기원’, ‘죄와 양심의 가책’, ‘금욕주의적 이상이라는 주제를 통해 기독교 도덕이 인간의 생동하는 힘을 어떻게 억압과 죄의식으로 조직했는가를 추적합니다. 니체는 이 책에서 선과 악이라는 도덕 구분이 결코 초월적이고 절대적인 진리가 아니라, 힘의 관계 속에서 발생한 해석적 산물임을 폭로합니다.

    니체의 계보학은 단순한 도덕 비판이 아니라, 도덕적 가치가 생명력과 의지를 전도시키는 권력의 역사에 대한 해명입니다. 그는 원한양심의 가책의 개념 등을 통해 약자의 복수심이 어떻게 죄의식과 속죄의 논리를 낳았는지를 보여줍니다. 도덕을 심리적·신학적 구조가 아닌 정치적·해석적 장치로 분석하면서, 니체는 기존의 도덕의 이상을 해체하고, 기독교적 금욕주의를 넘어 삶을 긍정하는 새로운 가치 체계, 힘에의 의지의 윤리를 모색하고자 합니다.

    세미나는 각 논문들을 천천히 강독하고, 현대 철학·정치·예술의 관점에서 그 사유의 여파를 토론하면서 진행하고자 합니다.

     

     

    강의 진행

     

    1주차(10/30) 서문 + 1논문 §1§3

    계보학적 방법의 의미, “가치의 가치에 대한 물음

     

    2주차(11/6) 1논문 §4§10

    귀족적 가치와 노예적 가치의 대립, 원한의 심리

     

    3주차(11/13) 1논문

    §11§17 기독교 도덕의 형성, 약자의 복수로서의 도덕

     

    4주차(11/27) 2논문 §1§6

    채무와 죄의 관계, 약속 능력의 탄생

     

    5주차(12/4) 2논문 §7§13

    본능의 내면화, 자기 폭력으로서의 양심

     

    6주차(12/11) 2논문 §14§25

    처벌, 기억, 권력의 내면화 메커니즘

     

    7주차(12/18) 3논문 §1§8

    금욕주의의 역할, 철학자·성직자·예술가의 자기부정

     

    8주차(1/8) 3논문 §9§16

    진리에 대한 의지의 역설, 철학적 금욕의 기원

     

    9주차(1/15) 3논문 §17§23

    삶의 긍정, 디오니소스적 가치전환, 계보학의 실천적 함의

     

    10주차(1/22) 3논문 §24§28

    철학의 자기비판, 새로운 긍정의 가능성

     

     

    강의 시간: 1030일 목요일부터 매주 아침 10시에 진행됩니다.

     

    강의교재

    프리드리히 니체,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김정현 옮김, 2002 (책세상 니체전집 14)

     

    수강료: 20만원(10회)

     

    강사 김동국

    서울대학교 미학과에서 학부와 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철학과 미학에 대한 강의와 글쓰기를 하고 있다. 아무도 위하지 않는, 그러나 모두를 위한 니체(삼인), 예술, 진리를 훔치다(파라북스)등의 책을 썼다

    [아카데미 환불안내]

    강의 시작 8일 전까지 100% 환불

    강의 시작 7일~3일 전 50% 환불 (환불 수수료 50%)

    그 외 환불 불가

     

    [프로그램 취소 방법]

    업무시간 내 (평일 오전 10시~ 오후 6시) 한양문고주엽점 카카오톡 1:1 채팅으로

    <취소신청> 성함 /연락처 / 강의명 작성 후 보내주세요.

    * 확인 후 순차적으로 처리해드립니다. 

    • 옵션
      0
      x